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내부 클래스
- java
- python
- enum
- 객체 지향
- 상속
- 백준
- this
- 추상 클래스
- nextInt
- 와일드카드
- 객체지향
- 17472
- Encapsulation
- 버퍼비우기
- Scanner
- 최소신장트리
- 열거형
- Final
- abstract
- polymorphism
- inheritance
- 다형성
- 인터페이스
- 제네릭
- 추상화
- 프림알고리즘
- 생성자
- 캡슐화
- Today
- Total
쫑쫑이의 블로그
ec2 스프링 빌드 시 멈춤 현상 해결법 본문
스프링 빌드를 하는데 빌드 시간이 1초씩 늘어나는게 아니라
10초 이상씩 늘고, 빌드도 안되길래 여러번 껐다 켰다 반복해서 빌드를 해봤는데 소용없었다
free tier로 ec2를 이용하면 ram이 1기가라서 멈춤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ram 크기를 늘려줘야한다
ram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 free
aws에서 늘리는 방법을 소개해주고 있다
1. 스왑 파일 생성
// aws에서는 count=32로 예제가 써있는데 절반인 16을 적은 이유는 권장 크기가 2GB이기 때문이다
$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2. 스왑 파일 권한 설정
$ sudo chmod 600 /swapfile
3. Linux 스왑 영역을 설정
$ sudo mkswap /swapfile
4. 스왑 공간에 스왑 파일을 추가하여 스왑 파일을 즉시 사용 가능하게 설정
$ sudo swapon /swapfile
5. 프로시저가 성공적인지 확인
$ sudo swapon -s
6. /etc/fstab 파일을 편집하여 부팅 시 스왑 파일을 시작
$ sudo vi /etc/fstab
파일 끝에 아래 문구 추가하고 저장
/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vi 명령어는 삽입할 때 a누르고 변경 끝나면 esc 후 :wq입력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c2-memory-swap-file/
스왑 파일을 사용하여 Amazon EC2 인스턴스의 스왑 공간으로 메모리 할당
닫기 John 씨의 동영상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기(3:37)
aws.amazon.com
https://okky.kr/articles/884329
OKKY - AWS EC2 프리티어 쓰시는분들 참고하세요!
일기장에 기록해둔건데 프리티어 쓰시는 분들에겐 좋은 정보일것 같아 남깁니다.제 일기장에서 긁어온거라 폼이 많이 깨지긴 했는데 감안하고 봐주세요! AWS 프리티어 EC2를 사용 중 겪은 문제
okky.kr
'공부 > Debug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포트 사용중일 때 종료하기 (0) | 2023.01.01 |
---|---|
ec2에서 mysql 사용할 때 yml파일 설정 (0) | 2023.01.01 |
mysql에서 긴 길이의 문자열을 저장할 때 column length 지정하기 (0) | 2023.01.01 |
linux에서 mysql 비밀번호 설정 안될 때 설정하는 방법 (0) | 2023.01.01 |
./gradlew: permission denied (0) | 2023.01.01 |